본문 바로가기

삐딱이

지방의원 이름패는 아직 한자

   국회의원들은 자기가 원하면 한글 이름패를 올려놓습니다.
그러면 지방의회 의원들은 어떨까요. 가지 각생입니다. 한글 이름패, 한자 이름패, 병행...

 지방의회 의원 이름패를 한글로 바꿔가는 추세지만 경남도내 의회 한글 선호도는 아직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글날이라고 한 번 조사를 해봤습니다. 경남도의회를 비롯해 20개 시·군의회에 전화를 쭉 돌렸습니다. 확인한 결과, 한글 이름패를 사용하는 데는 도의회, 마산시·창원시·사천시·김해시·남해군·거창군의회 등 모두 7곳. 하동군의회는 앞에는 한자, 뒤에는 한글로 새긴 이름패를 사용하고 나머지 시·군 의회는 아직 한자 이름패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바꿀 계획도 없다고 했습니다.
 
 지방의회의 한글 이름패 확산을 위해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이 지난 2006년 한글날을 맞아 한글로 이름패를 모두 바꾼 한 지방의회를 우리말 지킴이로 뽑기도 했으나 도내 의회 교체율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성적입니다. 다른 시도는 어떻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시·도 광역의회 중 한글 이름패로 바꾼 데는 서울시·인천시·경기도·경남도의회 등 4곳이며, 광주시·울산시·강원도·대구시·대전시·충북도·제주도의회는 병행하거나 의원 선택에 따르고 있습니다. 나머지 부산시·충남도·전북도·전남도·경북도는 아직 한자 이름패를 그대로 사용 중이구요.
 

 경남도의회는 지난 7월 8대 후반기 개원 때 한글 이름패로 교체했습니다. 한글 이름패 교체는 김오영(마산2) 도의원이 지난 2006년 11월 의회사무처 행정사무감사 때 제안에 따른 것으로 의원설문조사를 거쳐 이뤄졌습니다. 

  한글 이름패로 바꿔야 하는 이유는 김 의원이 당시 주장에 다 들어있습니다. "해마다 수천 명의 초등학생이 견학을 오고 도민이 방청을 하는데 우리 국어인 한글이 아닌 한자로 된 명패를 보이는 것은 안 좋은 모습이다." 누구나 의회를 방청할 때 의원 이름을 쉽게 알 수 있게 하고 의회부터 한글을 사랑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지난 7월 한글 이름패로 바꾸고 있는 경남도의회.
 
 그러나 아직 한자 이름패를 고집하는 의회들은 '우리나라는 한자문화권', '비용이 든다', '의원들 의견이 없다'라는 변명을 합니다. 한 의회 관계자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글날만 다가오면 한글 이야기를 하는데 모순"라며 "우리나라는 한글로는 표현이 어렵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한자 이름패를 한글로 바꾸려면 비용도 들게 된다"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비용이 많이든다는 말은 말그대로 변명입니다. 경남도의회(의원정수 53명)가 한 의원당 한글 이름패 4개씩 만들었는데 233만 원 들었습니다.